홍여새가 멀지 않은 곳에 나타나서 조류 사진가는 물론 빈곤한 겨울 사진가들의 `진객`이 되고 있습니다.
보유 장비가 빈약한 탓에 조류 촬영은 잘 나서지 않는 편이지만 사람 가까이까지 날아와 놀다 간다기에 시도를 해 봤습니다.
그러나 제가 가는 날마다 녀석들은 나무에서 내려오지 않아 두 번이나 바람만 맞고 빈손으로 돌아와야 했습니다.
우리말에 한번 실패하면 삼세번은 해야 된다더니 세 번째 도전에 녀석들의 허락을 얻어 냈습니다.
처음 이 녀석들이 이곳에 나타났을 때는 50~60마리가 무리를 이루고 있었지만 이날은 겨우 10여 마리 뿐이었습니다.
귀부인과 귀공자 같은 모습에 고글을 낀 모습이랄까 볼수록 귀티가 흐르는 겨울 진객입니다.
이곳에는 파라칸사스(파라칸타)나무로 공원 주변을 꾸며 놓아 이 열매를 따 먹기 위해 머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먹이가 부족한 겨울이지만 공원의 푸른 울타리의 열매가 철새를 부르고 더불어 시민들도 즐겁습니다.
홍여새는 한국에는 드물게 찾아오는 겨울 철새로 남시베리아와 북중국에서 번식을 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고 합니다. 10~40여 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주로 나무 위에서 살면서 관목의 열매를 먹고 살아 갑니다.
관찰해 본 결과 녀석들은 꾀 높은 나무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물가로 내려와 물을 먹기도 하고 열매가 있는 나무에 일제히 내려앉습니다. 먹이 활동은 아주 짧아서 2~30여초 열매를 따 먹고 나무 위로 올라가 소화를 시키는데 대략 1시간에 한번쯤 내려오는 것 같았습니다.
참새목 여새과에 속하는 새로 전 세계에 8종이 있으며, 이 가운데 우리나라를 찾는 새는 홍여새와 황여새 등 두 종류라 합니다.
홍여새와 황여새는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홍여새는 꼬리의 빛깔이 붉은 색이고 황여새는 꼬리 깃털이 노란색으로 구분이 쉽습니다.
이곳에서도 홍여새의 무리에 황여새도 함께 있으나 이날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2011. 2. 19. 부산에서
영도다리 해체 복원 현장을 가보니... (0) | 2011.02.26 |
---|---|
백운암 가는길 (0) | 2011.02.22 |
설경의 대능원 (0) | 2011.02.15 |
`눈폭탄` 부산, 대설주의보 속의 산복도로에 나가 봤더니... (0) | 2011.02.14 |
부산에 대설주의보 .... (0) | 201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