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암의 PHOTO & 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실암의 PHOTO & 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42)
    • Work (0)
    • 디카詩 (71)
    • 장삼이사 (49)
    • 사진과 雜記 (678)
    • 들꽃뫼꽃 (291)
    • 신문속의 오늘 (32)
    • 구름하나 바람소리 (61)
    • 마라톤 (4)
    • 李茂鉉갤러리 (20)

검색 레이어

실암의 PHOTO & 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고비의 고비

    2025.04.30 by 실암

  • ‘잔인한 4월’

    2025.04.30 by 실암

  • 소류지(沼溜地)의 봄

    2025.03.27 by 실암

  • '못 찾겠다 나는야 오늘도 술래' 녹색비둘기

    2025.03.05 by 실암

  • 겨울 안개

    2025.03.04 by 실암

  • 접지 못한 날개

    2025.03.04 by 실암

  • 물안개 피는 겨울 바다

    2025.02.18 by 실암

  • ‘74년 해로 부부의 사랑가’

    2025.01.02 by 실암

고비의 고비

고비는 봄이 고비다.봄이면 피눈물이 난다.

디카詩 2025. 4. 30. 11:39

‘잔인한 4월’

맑고 푸른 4월의 하늘이 곱다. 그러나 4월은 예나 지금이나 ‘잔인한 달’이라고 한다. 완연한 봄을 맞이하는 희망이 충만한 달임은 분명한데, 이맘때면 사람으로 인해 산과 들이 상처받고 이웃들에게 힘든 시련을 안겨주는 4월이어서 마음이 아프다. 이런 아픔과 시련을 치유하는 것 또한 사람이니 희망은 있다. 내일의 희망과 꿈들이 우리 가슴에 소록소록 돋아나기를 바란다. ‘잔인한 4월’, 다시 힘차게 일어서는 진달래 빛 아름다운 사랑을 꿈꾼다. 2025. 4. 25. 부산진구신문 게재

사진과 雜記 2025. 4. 30. 11:29

소류지(沼溜地)의 봄

산 아래 작고 아담한 ‘저수지의 섬’ 속에는 버드나무가 산다. 버드나무 한그루가 특별한 볼거리는 아니지만 새잎이 돋고 연초록으로 변하는 봄이면 선경이 따로 없다. 널뛰기하듯 급변화는 기온이 다반사인 봄은 심술궂은 요술쟁이다. 거스를 수 없는 자연의 섭리, 봄이라서 새싹을 허용하는 계절이다. 봄 하면 꽃이다. 그렇지만 꽃보다 아름다운 연초록 새순도 빼놓을 수 없다. 거울 같은 저수지에 드리운 맑고 고운 연둣빛 한 스푼을 당신께 드리고 싶다.   2025. 3. 25. 부산진구신문 게재

사진과 雜記 2025. 3. 27. 16:54

'못 찾겠다 나는야 오늘도 술래' 녹색비둘기

국내에 드물게 발견되는 '녹색 비둘기'가 2월 19일 울산에서 처음 관찰됐다는 소식을 접하고 달려갔다. 녹색비둘기는 주로 일본과 대만, 베트남 북부 같은 온대 숲에서 서식하는데 국내에선 제주도와 독도 등에서 드물게 관찰된다고 한다.녹색비둘기가 울산대공원에서 발견되었다는 정보만 있을 뿐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었다. 인터넷을 두루 뒤져도 위치를 공개한 곳이 없어 무작정 울산대공원으로 갔다. 남문 동물원 매표소에 도착 ‘녹색비둘기’출현에 대한 정보를 알아봤다. 그러나 매표원은 금시초문이라며 공원 내 이곳저곳으로 전화를 돌려 친절하게 알아봐 줬으나 울산대공원 관계자들도 녹색비둘기 출현을 모르거나 발견된 위치를 모르고 있었다.  동물원에 온 김에 흑고니, 독수리, 앵무새 등을 봤다. 그러나 머릿속은 온통 ‘녹색..

사진과 雜記 2025. 3. 5. 12:51

겨울 안개

눈이 귀한 부산에 함박눈이 내리던 날이었다. 달뜬 마음에 냅다 통도사로 향했는데 그사이 눈은 그쳐 버렸다. 다행히 내린 눈이 녹으면서 하얀 안개를 피워 영축산을 덮고 산허리를 감고 흘렀다. 시나브로 변하는 안개는 고요를 느끼게 하고 세상이 멈춘 듯한 풍경을 선사했다. 안개는 나의 시선을 가렸으나 그 속에 감춰놓은 것에 대하여 무한 상상을 자극했다. 안개 저 너머에서 다가오는 무언의 희망을 이 겨울에 느끼게 하는 풍경이었다. 찬란한 희망의 봄이 오는 소리와 다름없는.   2025. 2. 24. 부산진구신문

사진과 雜記 2025. 3. 4. 12:22

접지 못한 날개

작은 새 한 마리하늘에 있어야 아름답거늘어찌 땅에 모로 누웠는가. 새가 땅에 내려올 때는 죽을 때나 내려온다는데네가 딱 그 모양이구나 땅에서도 접지 못한 날개는 세상 밖을 나는 꿈을 꾸는가.

사진과 雜記 2025. 3. 4. 12:19

물안개 피는 겨울 바다

겨울에 만나는 바다 물안개는 더 몽환적이고 신비롭다. '물안개 맛집'으로 소문난 이곳 울주군 명선도 바다가 온천수를 보는 듯 끓어오르고 있다.희미하던 바다에 해가 떠오르자 물안개가 스멀스멀 올라오기 시작한다. 해가 바다를 박차고 완전히 떠오르면 태양의 붉은 기운을 안고 물안개는 절정에 이른다. 파도까지 힘차게 몰아치면 가슴에 쌓였던 스트레스까지 날아간다.겨울 바다 물안개는 바다 수온보다 대ㅣ 기온이 급격히 영하권으로 떨어질 때 생긴다. 또한 습도는 높고 바람이 없을 때, 민물이 유입되는 곳에 잘 발생한다. 바다는 언제나 평화와 격랑을 함께 보여준다. 마치 인간사를 보는 듯 하다. 올해는 제발 가슴 졸이는 힘든 일이 없기를 바란다.

사진과 雜記 2025. 2. 18. 12:34

‘74년 해로 부부의 사랑가’

‘74년 해로 부부의 사랑가’같은 해 태어나 같은 해에 돌아가시다. 1933년 7월 아버지 태어나시고, 4개월 후 11월 7일 어머니 태어나셨다. 동갑내기 부모님은 18세에 결혼하여 74년을 해로하셨다. 결혼 후 한 동네, 한 집, 한 방에서 기거하셨다.아버지가 돌아가시던 전날 밤에도 같은 침대를 쓰셨다. 아버지는 24세에 할아버지를 여의고 가장이 되었다. 아버지는 20대와 10대의 세 동생을 책임져야 했고 슬하에 남매가 태어난 상태였다. 당시 필자는 어머니 배 속에 있었고 남동생 하나가 더 태어났다.할아버지가 갑자기 돌아가시면서 땅 한 평 물려받지 못한 상태였다. 아버지는 남의 땅을 부치며 어머니는 길쌈을 하며 연명했다. 마른 땅에 떨어진 한 알의 밀알처럼 힘겨운 청춘을 보내셨다. 키 160센티도 안 ..

장삼이사 2025. 1. 2. 14:2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56
다음
TISTORY
실암의 PHOTO & 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