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암의 PHOTO & 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실암의 PHOTO & 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42)
    • Work (0)
    • 디카詩 (71)
    • 장삼이사 (49)
    • 사진과 雜記 (678)
    • 들꽃뫼꽃 (291)
    • 신문속의 오늘 (32)
    • 구름하나 바람소리 (61)
    • 마라톤 (4)
    • 李茂鉉갤러리 (20)

검색 레이어

실암의 PHOTO & 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합성사진

  • 동화 같은 반딧불이 사진의 '비밀'

    2021.07.07 by 실암

  • '파랑새는 있다'

    2019.08.06 by 실암

  • 반딧불이

    2019.06.03 by 실암

동화 같은 반딧불이 사진의 '비밀'

반딧불이는 일몰 후 완전히 어두워진 9시가 넘어야 활동한다. 바로 옆 사람의 얼굴조차 구분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촬영은 매우 어렵다. 수많은 반딧불이가 동시에 날아다니지 않고 많아야 고작 서너 마리가 카메라 프레임 안으로 들어 올 뿐이어서 한 컷 촬영으로는 ‘동화 같은 사진’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반딧불이가 나타나는 곳에 미리 튼튼한 삼각대에 카메라를 설치해 놓고 기다려야 한다. 한두 시간, 심지어는 서너 시간, 수백 컷을 담아와서 반딧불이가 없는 것과 맘에 들지 않은 컷은 삭제한 후 합성해서 한 장의 사진으로 완성한다. 반딧불이 촬영은 마치 야간 경계 근무에 들어간 군인처럼 완전한 어둠 속에서 긴 시간 기다림과 모기와도 싸워야 하는 고된 작업이다. 반딧불이 사진의 일반적인 촬영 방법은 ISO(감도..

사진과 雜記 2021. 7. 7. 15:48

'파랑새는 있다'

희망의 새, 파랑새의 육추 장면을 목격했다. 까치집에 둥지를 틀고 먹이를 물어와 새끼를 기르고 있었다. 숲이나 나무의 구멍에 둥지를 만드는 게 일반적인데 어찌된 영문인지 도시 근교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 옆 송신탑 위의 까치집에 둥지를 튼 게 신기했다. 암수가 번갈아 먹이를 물..

사진과 雜記 2019. 8. 6. 11:02

반딧불이

반딧불이 촬영을 처음 해 봤습니다. 사진 한 프레임에 반딧불의 모습이 수 장에서 수십장까지 담기는데 1시간 정도 촬영한 프레임을 선별하여 합성한 영상입니다. 2019. 5. 31. 충남 금산에서

사진과 雜記 2019. 6. 3. 11: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실암의 PHOTO & 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